공유하기X
이달의 핫픽
새로운 음악사용료 징수규정의 승인
내가 들은 음악의 사용료는 어떻게 정산되고 있을까?
1곡 스트리밍에 7원, 어떻게 나눠가지나
음원 유통 수익 배분 구조
소위 ‘인별정산’에 대한 고민
비례정산 방식과 인별정산 방식 차이
사용료 징수규정 개정안 승인 과정
개정 징수규정의 의의
1 신탁관리단체들의 사용료 징수규정에 따른 전송사용료를 기준으로 비율을 산정한 것이다.
2 기존 60(권리자):40(사업자)에서 2015년에 다운로드 상품이 70:30으로 바뀌었고, 스트리밍 상품 역시 2018년에 65:35로 변경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3 VIBE 고객센터 - “음원 권리사에게 음원 사용료를 지불하는 정산 방식에는 이용자 중심 정산 방식과 비례 배분 정산 방식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국내 대부분의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는 비례 배분 정산 방식을 표준 계약 정산 방식으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비례 배분 정산 방식은 음원 사용료 전체 매출을 서비스 총 재생 비율에 따라 배분하는 것으로, 이용자가 듣지 않은 음원의 권리사에게도 음원 사용료가 정산되는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VIBE가 새로운 음원 사용료 정산 방식인 이용자 중심 정산 방식을 도입한 이유입니다. VIBE는 앞으로도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https://help.naver.com/service/20370/contents/11479?lang=ko [2023.10.11. 접속]
4 음악저작권자문위원회 운영규정 [시행 2023. 6. 12.] [문화체육관광부예규 제78호, 2023. 6. 12., 일부개정] 제2조(위원회의 자문사항) 위원회는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의 자문 요청에 따라 다음 각 호의 사항에 관하여 문화체육관광부장관에게 의견을 제시한다. 1. 저작권위탁관리업자가 이용자로부터 받는 사용료의 요율 또는 금액에 관한 사항
5 2020년 11월 네이버에서 직접 참석하여 인별정산의 개념과 징수규정 개정 요청 취지에 대하여 설명하기도 했다.
6 음악저작권자문위원회에서는 실증적 데이터가 부족하다는 우려가 있음을 감안하여, 당사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소위 인별정산을 선택할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할 것을 의결하였다.
7 네이버, “이용자별 정산” PPT 자료, 음악산업발전위원회 회의자료(미공개 자료), 1면.
8 한국음악실연자연합회 사용료 징수규정 제4조 비고6) 본 조에 따른 사용료의 산정 방식에도 불구하고 연합회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사용료를 가입자 단위로 나누어 산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료는 다음의 금액을 합한 금액으로 한다. 단, 합의가 성립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본 조에 따른 사용료의 산정 방식에 따른다.(이하 이 조에서 같다) 1. [(이용 가입자별 매출액 × 6.25% 또는 가입자당 단가(월정 420원) 중 많은 금액) × 이용 가입자별 음악저작물관리비율]의 총합산액 2. (미이용 가입자별 매출액 합계 × 6.25% 또는 가입자당 단가(월정 420원) 합계 중 많은 금액) × 이용 가입자별 음악저작물관리비율의 평균치 * 제3항의 경우 가입자 단가는 월정 681.25원을 적용한다.
9 MUSICBUSINESS WORLDWIDE, “UNIVERSAL IS INVESTIGATING NEW ROYALTY PAYOUT MODELS FOR STREAMING. WHICH ONE WILL IT CHOOSE?”, 2023.1.27.자. https://www.musicbusinessworldwide.com/universal-isinvestigating-new-royalty-payout-models-for-streaming/